언론보도

공지 각 지역별 고농도 초미세먼지 연구 활발 … 5년새 관련 연구논문 2배 늘어

페이지 정보

작성자
누리미디어
조회
4,209회
작성일
16-03-30 09:33

본문

76f130ffdb42ccd62a8f04bb1521fd33_1645513720_7419.jpg
 


학술트렌드_황사 그리고 미세먼지

  학계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2011년 69편에 불과했던 황사와 미세먼지 관련 논문은 지난 2015년에는 132편을 기록, 5년 사이에 약 2배 정도 증가한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해가 거듭될수록 반가운 꽃소식보다 황사 관련 뉴스가 봄을 얼룩지게 한다. 부쩍 심해진 중국발 스모그와 초미세먼지까지 가세하면서 어린이나 임산부 또는 알레르기 비염,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이 있는 사람들을 더욱 긴장하게 만들고 있다.

  누리미디어의 학술논문 사이트 DBpia(www.dbpia.co.kr)가 발표한 「2016년 1·2월 이용 논문이용 TOP 10」에도 ‘황사’와 ‘호흡기질환’ 관련 논문이 부쩍 눈길을 끌고 있다. 중국과 몽골 사막, 황토 고원에서 발생하는 황사는 중국은 물론 한반도, 일본까지 직접적인 영향권에 두고 있으며, 심지어 북미대륙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범지구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다. 특히 최근 황사이동을 통해 대기오염물질의 이동을 추정할 수 있어 더욱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건강과 대기오염 이동 상관관계 분석에 초점
  학계도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2011년 69편에 불과했던 황사와 미세먼지 관련 논문은 지난 2015년에는 132편을 기록, 5년 사이에 약 2배 정도 증가한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가 발표한 「황사의 국내 연구동향과 최근 에피소드 분석」(2013)에 의하면 과거 황사의 농도와 유입경로, 발생원, 예측모델 개발에 주로 주안점을 뒀던 연구는 점점 황사의 건강 영향 평가, 자연 영향 평가, 이동에 따른 오염물질 전달 매체로서의 역할 등이 조명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최근 5년간 DBpia를 통해 서비스된 황사와 미세먼지 관련 논문 총 494편의 제목을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하자 ‘황사’ 보다 오히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가 가장 많이 눈에 띄었다(그림 참조). ‘고농도’와 함께 서울을 비롯한 각 지역 이름들이 이를 뒤따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가 2012년 한 해 대기오염과 관련해 약 700만 명이 조기 사망(전체 사망의 1/8)하고 있으며, 특히 미세먼지는 대기오염 물질 중 인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라고 보고(Burnett et al., 2014: WHO, 2014)할만큼 인체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 연구 역시 고농도 초미세 먼지의 지역별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수도권에서 미세먼지로 인해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이 약 연간 12조 3천억원으로 추정(환경부, 2013) 되고 있는 상황에서 관련 연구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황사 마스크 이용’ 다룬 논문 두드러져
  2016년 1~2월간 DBpia 서비스를 통해 학술 이용자들이 이용한 논문 가운데 황사와 미세먼지 관련 가장 인기 있는 논문은 「황사 마스크 이용 및 관리실태」였다. 이 논문은 지난해 가을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에 게재된 것이다. 논문의 주요 내용은, 마스크 판매량이 급증하고 있으나 단순히 황사와 미세먼지를 1차적으로 차단하는 것에 치중되고 마스크의 올바른 구매와 착용 후 보관, 세탁 등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는 것. 한양대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과 같은 대학원 보건학과, 그리고 경희대 의류디자인학과가 함께 질병관리본부의 ‘미세먼지/황사로 인한 건강피해 최소화 중재연구 개발’ 연구용역 사업으로 진행한 결과물이기도 하다.
  

  DBpia의 논문 연관 검색 서비스를 통해 「황사 마스크 이용 및 관리실태」와 함께 학술 이용자들이 주로 다운받은 논문에는 「시판되고 있는 유사마스크 제품의 여과효율성능 비교평가」(한국환경보건확회지), 「건강한 생활환경을 위한 맞춤형 미세먼지 관리방안」(BDI 정책포커스) 등 건강과 관련된 논문들이 잇따랐다.

▷ 관련 기사보기 (교수신문)